본문 바로가기

워드프레스, 40일이면 할 수 있다

[워드프레스 도전 11일차] 워드프레스 블록 편집기 완벽 적응하기

반응형

 

 

지난 10일간의 위대한 여정을 통해, 우리의 블로그는 이제 멋진 디자인과 강력한 플러그인까지 갖춘 완벽한 '기반'을 다졌습니다. 이제 이 훌륭한 무대에 주인공인 '콘텐츠'를 올릴 시간입니다.

 

워드프레스에서 글을 쓰기 위해 `글 (Posts)` → `새로 추가 (Add New)`를 누르면, 처음에는 조금 낯선 화면이 당신을 맞이할 겁니다. 이것이 바로 워드프레스의 현대적인 글쓰기 도구, '블록 편집기(Block Editor)' 또는 '구텐베르크 편집기'입니다.

 

과거의 편집기처럼 하얀 백지에 글을 쭉 써 내려가는 방식이 아니라서 당황하셨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걱정 마십시오. 오늘 이 편집기의 '레고 블록' 같은 단순하고 강력한 원리를 이해하고 나면, 글쓰기가 얼마나 즐거워지는지 깨닫게 될 것입니다.

 

1. 블록 편집기란? (레고처럼 조립하는 글쓰기) 🤔

[핵심 개념]

 

블록 편집기의 핵심은 간단합니다. 글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문단, 제목, 이미지, 동영상, 표-가 각각 독립된 '블록(Block)'이라는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쉽게 이해하기: 레고(LEGO) 블록 비유]

과거의 글쓰기가 '찰흙'을 통째로 빚어 모양을 만드는 것이었다면, 블록 편집기는 다양한 모양의 '레고 블록'을 착착 조립하여 작품을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단락 블록', '제목 블록', '이미지 블록' 등을 순서대로 쌓아 하나의 완성된 글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각 블록은 독립적으로 움직이고 수정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2. 글쓰기 화면 (UI) 완전 해부 🖥️

글쓰기 화면은 크게 3개의 구역으로 나뉩니다.

 

1. 상단 툴바 (Top Toolbar): `미리보기 (Preview)`, `공개 (Publish)` 버튼 등 글 발행과 관련된 중요 기능이 모여있습니다. 가장 오른쪽의 톱니바퀴 아이콘(`설정 (Settings)`)은 3번 구역인 오른쪽 사이드바를 숨기거나 나타나게 합니다.

2. 중앙 콘텐츠 영역 (Main Content Area): 글의 제목과 본문 블록들이 조립되는 가장 넓은 핵심 작업 공간입니다. 왼쪽 위의 파란색 `+` 아이콘을 누르면 추가할 수 있는 모든 블록의 목록이 나타납니다.

3. 오른쪽 사이드바 (Right Sidebar): 글 전체의 설정을 담은 `글 (Post)` 탭과, 현재 선택한 블록의 세부 디자인을 설정하는 `블록 (Block)` 탭으로 구성된 '속성 창'입니다.

 

3. 가장 기본적이지만 가장 강력한 블록 3가지 🧱

수십 개의 블록이 있지만, 실제 글쓰기의 90%는 아래 3가지 블록으로 이루어집니다.

- 단락 블록 (Paragraph Block)

모든 일반 텍스트를 담는 가장 기본적인 블록입니다. 그냥 글을 쓰다가 엔터(Enter) 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새로운 단락 블록이 생성됩니다.

- 제목 블록 (Heading Block)

글의 소제목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H2`, `H3` 등 단계별로 제목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이는 가독성과 검색엔진 최적화(SEO)에 매우 중요합니다. `+` 아이콘을 누르거나, 빈 줄에서 `/제목`을 입력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이미지 블록 (Image Block)

글에 이미지를 삽입할 때 사용합니다. 이미지 업로드 후, 오른쪽 사이드바의 `블록 (Block)` 탭에서 `대체 텍스트 (Alt text)`를 반드시 입력해주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4. 실전: 첫 콘텐츠, '자기소개 페이지' 초안 작성하기 ✍️

[실전 가이드]

 

이제 배운 내용을 바로 써먹어 봅시다. 블로그의 필수 요소인 '자기소개' 페이지의 초안을 함께 만들어 보겠습니다.

1. 관리자 메뉴에서 `페이지 (Pages)` → `새로 추가 (Add New)`를 클릭합니다. ('소개' 글은 자주 바뀌지 않는 고정 정보이므로 '페이지'로 만듭니다.)
2. `제목 추가 (Add title)` 란에 "저를 소개합니다" 또는 "블로그 소개"라고 입력합니다.
3. 첫 번째 `단락 블록 (Paragraph Block)`에 간단한 인사말과 블로그를 시작하게 된 계기를 2~3줄 적어봅니다.
4. 엔터를 치고, `+` 아이콘을 눌러 `제목 블록 (Heading Block)`을 추가한 뒤, "이 블로그에서는" 이라고 입력합니다. (기본값인 H2를 사용합니다.)
5. 다시 엔터를 쳐서 `단락 블록`에 이 블로그에서 다룰 주제들을 자유롭게 서술합니다.
6. `이미지 블록 (Image Block)`을 추가하여 자신이나 블로그를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를 업로드해봅니다.
7. 작성이 끝나면 우측 상단의 `임시글로 저장 (Save draft)`을 클릭합니다. 아직 발행하지는 마세요!

다음 도전 예고: 글에 생동감을! 가독성 높이기 🚀

 

질문: 블록 편집기를 처음 사용해 본 소감이 어떠신가요? 찰흙을 만지는 것과 같나요, 아니면 레고를 조립하는 것과 같나요? 자기소개 페이지를 만들면서 가장 편리했던 블록은 무엇이었나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