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관련된 모든 것

보이지 않는 암살자와의 전쟁, '소독법'의 모든 것 (제멜바이스, 리스터와 수술 감염 예방의 위대한 첫걸음 초정밀 해부)

반응형

 

 

 

19세기 중반, 마취의 발견으로 외과의사들은 비로소 환자의 비명 없이 정교한 수술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수술의 성공률은 여전히 끔찍할 정도로 낮았습니다. 수술 자체는 성공해도, 환자 대부분이 며칠 내에 상처가 썩어 들어가는 '병원 괴저(hospital gangrene)'나 전신 감염(패혈증)으로 사망했기 때문입니다. 당시 의사들은 피고름이 나는 것을 '훌륭한 고름(laudable pus)'이라 부르며, 상처가 치유되는 자연스러운 과정의 일부라고 착각했습니다. 수술복을 피로 물들이는 것은 외과의사의 명예로운 훈장이었고, 손을 씻는다는 개념조차 없었습니다.

 

이 보이지 않는 암살자, 즉 '세균'의 정체를 처음으로 의심하고, 인류에게 '손 씻기'라는 가장 단순하고도 위대한 무기를 안겨준 선구자가 바로 비운의 의사 이그나츠 제멜바이스(Ignaz Semmelweis)입니다. 그리고 루이 파스퇴르의 '세균설'에서 영감을 얻어, 수술 도구와 상처를 직접 소독하는 '소독법(Antisepsis)'의 개념을 창시하여 현대 외과학의 문을 연 인물이 바로 영국의 외과의사 조지프 리스터(Joseph Lister)입니다.

 

오늘 이 글은 수술실을 죽음의 공간에서 생명의 공간으로 바꾼, 소독법 탄생의 위대한 역사입니다. 의사의 더러운 손이 산모들을 죽음으로 몰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증명했지만, 동료 의사들의 조롱 속에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한 제멜바이스의 이야기부터, 파스퇴르의 이론을 수술실에 적용하여 '석탄산'으로 보이지 않는 적과 싸운 리스터의 성공 신화까지. 인류가 어떻게 감염의 공포를 극복하고 안전한 수술의 시대를 열게 되었는지, 그 처절하고도 감동적인 과정을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1. 비운의 선구자, 제멜바이스: "의사여, 당신의 손을 씻으시오!" 🧼

[정확한 학술적 설명]

 

1847년, 오스트리아 빈 종합병원 산부인과에서 근무하던 헝가리 출신 의사 이그나츠 제멜바이스는 끔찍한 미스터리와 마주합니다. 병원에는 두 개의 산과 병동이 있었는데, 의대생들이 분만을 돕는 제1병동의 산모 사망률(주로 '산욕열' 때문)은 10~35%에 달하는 반면, 조산사들만이 분만을 돕는 제2병동의 사망률은 2%에 불과했습니다.

 

제멜바이스는 이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모든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했습니다. 그러던 중, 그는 자신의 동료 의사가 부검 중 칼에 베인 상처로 사망했는데, 그 증상이 산욕열로 죽은 산모와 똑같다는 사실을 발견합니다. 여기서 그는 위대한 통찰을 얻습니다.

 

의대생들이 시체를 부검한 '더러운 손'을 씻지 않고 그대로 산모를 진찰하고 분만을 돕기 때문에, 시체에 있던 '죽음의 입자'가 산모에게 옮겨가 병을 일으킨다는 것이었습니다. (조산사들은 부검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즉시 제1병동의 모든 의사와 학생들에게, 진찰 전에 반드시 '염화칼슘 용액'으로 손을 소독하는 규정을 만들었습니다. 결과는 즉각적이고 극적이었습니다. 제1병동의 산모 사망률은 12%에서 1~2%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 이는 '손 씻기'가 감염을 예방한다는 것을 인류 역사상 최초로 통계적으로 증명한 사건이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발견은 의학계의 냉대와 조롱에 부딪혔습니다. "의사의 고귀한 손이 더럽다니, 말도 안 된다!", "신사의 손이 어떻게 여인들을 죽인단 말인가?" 동료 의사들은 자신들이 죽음의 매개체라는 사실을 인정하기를 거부했고, 제멜바이스는 결국 병원에서 쫓겨나고 학계에서 고립되었습니다. 그는 말년에 정신병원에 수용되었고, 아이러니하게도 그곳에서 입은 상처가 감염되어 패혈증으로 사망하고 맙니다.

[쉽게 이해하기: 두 개의 식당]

한 건물에 A와 B, 두 개의 식당이 있습니다. 이상하게도 A 식당 손님들만 계속 식중독에 걸립니다.
제멜바이스는 두 식당을 면밀히 관찰한 결과, 결정적인 차이를 발견합니다. A 식당의 요리사들(의대생)은 화장실 청소(부검)를 한 뒤, 손을 씻지 않고 바로 음식을 만듭니다. B 식당 요리사들(조산사)은 화장실 청소를 하지 않습니다.
그는 A 식당 요리사들에게 "음식을 만들기 전에 반드시 소독제로 손을 씻으라"는 규칙을 만듭니다. 그러자 A 식당의 식중독 사고가 즉시 사라집니다. 하지만 A 식당 요리사들은 "우리의 신성한 손이 더럽다는 말이냐!"라며 분노하고, 제멜바이스를 주방에서 쫓아내 버립니다.

 

2. 세균설의 등장과 리스터의 통찰 💡

[정확한 학술적 설명]

 

제멜바이스의 비극적인 실패는 그의 이론을 뒷받침할 '과학적 원리'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 '죽음의 입자'의 정체는 여전히 미스터리였습니다. 하지만 1860년대, 루이 파스퇴르가 '질병의 세균설'을 발표하면서 상황은 급변합니다. 파스퇴르는 공기 중의 보이지 않는 미생물(세균)이 음식의 부패와 질병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대학의 외과의사였던 조지프 리스터(Joseph Lister)는 파스퇴르의 논문을 읽고 깊은 영감을 받습니다. "만약 공기 중의 세균이 와인을 식초로 만든다면, 똑같은 세균이 수술 상처에 들어가 썩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그는 수술 후 감염의 원인이 '나쁜 공기(미아즈마)'가 아니라, 바로 파스퇴르가 말한 '세균'이라고 확신했습니다. 그리고 이 보이지 않는 적을 죽일 방법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3. 리스터의 혁명: 석탄산을 이용한 소독법 수술 (1865) 👨‍⚕️

[정확한 학술적 설명]

 

리스터는 당시 하수 처리장의 악취 제거에 사용되던 화학물질 '석탄산(Carbolic acid, 페놀)'에 주목했습니다. 그는 이 물질이 세균을 죽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를 수술에 적용하는 대담한 시도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소독법(Antisepsis)'의 시작입니다.

 

1865년, 그는 마차에 치여 다리가 복합 골절된 11살 소년 제임스 그린리스를 수술하게 됩니다. 당시 복합 골절은 거의 100% 감염으로 이어져 다리를 절단하거나 사망하는 끔찍한 부상이었습니다.

 

리스터는 수술 전, 자신의 손과 수술 도구를 석탄산 용액으로 씻고, 상처 부위를 석탄산으로 직접 소독했습니다. 더 나아가, 공기 중의 세균이 상처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수술 내내 석탄산을 희석한 용액을 분무기로 뿌리는 '석탄산 분무'까지 실시했습니다. 수술 후에도 상처를 석탄산에 적신 붕대로 감았습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습니다. 소년의 상처는 곪지 않고 깨끗하게 치유되었고, 다리를 절단하지 않고도 완치되었습니다. 리스터는 이 방법을 체계화하여, 자신이 수술한 환자들의 사망률을 50%에서 15% 수준으로 극적으로 낮추었습니다. 그의 '리스터법(Listerism)'은 점차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고, 그는 '현대 소독 외과술의 아버지'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쉽게 이해하기: 무균실 만들기]

파스퇴르가 "공기 중의 보이지 않는 곰팡이 포자(세균)가 빵을 썩게 만든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외과 의사 리스터는 이 원리를 수술에 적용합니다. "수술로 열린 상처(빵)가 썩는 것도 바로 이 포자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그는 빵을 보관할 방(수술실)에 들어가기 전에, 빵을 만질 모든 도구와 자신의 손을 '강력 살균제(석탄산)'로 닦습니다. 심지어 공기 중에 떠다니는 포자를 죽이기 위해, 방 전체에 살균제를 분무기로 뿌려 안개를 만듭니다. 이 덕분에 빵(상처)은 곰팡이가 피지 않고 신선하게 유지될 수 있었습니다.

 

4. 소독(Antisepsis)에서 멸균(Asepsis)으로 ✨

[정확한 학술적 설명]

 

리스터의 소독법은 이미 상처나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세균을 '죽이는(anti-)' 방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석탄산은 독성이 강해 정상 조직에도 손상을 줄 수 있었습니다. 그의 제자들과 후배들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갔습니다. 바로 세균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애초에 수술 부위에 세균이 전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무균법(Asepsis)'의 개념입니다.

 

이는 수술 전, 고압 증기 멸균기(autoclave)를 이용해 모든 수술 도구와 수술복, 붕대를 완벽하게 '멸균(sterilization)'하고, 수술 시에는 멸균된 장갑과 마스크를 착용하는, 오늘날 우리가 아는 현대적인 수술 환경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소독'이 이미 벌어진 전투에서 적을 죽이는 것이라면, '멸균'은 아예 적이 전투장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원천 봉쇄하는 것입니다.

 

5. 결론: 가장 단순하고 위대한 진리 ✨

제멜바이스와 리스터의 이야기는 현대 의학의 가장 위대한 진리 중 하나가 어떻게 탄생했는지를 보여줍니다. "보이지 않는 세균이 감염을 일으키므로, 우리는 손과 도구를 깨끗이 해야 한다." 지금 우리에게는 너무나도 당연한 이 상식은, 당시에는 기존의 모든 권위와 상식에 맞서 싸워야 했던 혁명적인 사상이었습니다.

 

한 사람은 시대를 너무 앞서간 탓에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고, 다른 한 사람은 위대한 이론(세균설)의 도움을 받아 성공적인 혁명을 이끌었습니다. 그들의 헌신과 통찰 덕분에, 수술실은 더 이상 죽음의 공포가 가득한 곳이 아니라, 생명을 구하는 희망의 공간이 될 수 있었습니다. 마취가 '고통 없는 수술'을 가능하게 했다면, 소독법은 '안전한 수술'을 가능하게 한 것입니다.

 

질문: 오늘 소독법의 탄생 이야기에서 어떤 인물의 이야기가 더 인상 깊었나요? 시대를 너무 앞서 동료들에게 인정받지 못했던 비운의 천재 '제멜바이스'인가요, 아니면 파스퇴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혁명을 이끈 '리스터'인가요? 🩺

 

반응형